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언리얼엔진 5 | 고퀄리티 무료 폴리지 에셋 추천 및 관리 최적화 이 글은 Mr.Go 님의 유투브 강좌를 듣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습을 진행하며 작성한 개인의 학습 기록물입니다. 초보자로서 폴리지 실습을 하다보니 식물 에셋도 나나이트가 적용이 안되는 것들도 있고, 스태틱 메시 형태로 다운받아 머티리얼까지 다시 입혀줘야 사용 가능한 경우 등, 번거로운 일들이 많이 생겼다. 그래서, Mr.Go 님이 유투브 Foliage 강의 마지막에 올려주신 식물 에셋 추천 및 관리 방법을 따라하며 폴리지 콜렉션(Foliage Collection)을 만들어두기로 했다. 고퀄리티 무료 폴리지 에셋 추천 5 강의에서 추천된 식물 에셋 세트는 다음의 5가지이고, 모두 fab.com 에서 다운받거나, 언리얼 엔진 에디터의 '콘텐츠 드로어'에서 fab 아이콘을 눌러 프로젝트로 바로 임포트 해올 수.. 더보기
언리얼엔진 5 머티리얼 | 텍스처 종류 정리 및 머티리얼 적용법 가이드 언리얼엔진 (Unreal Engine 5) 에서 외부 에셋을 사용할 때에는 다양한 텍스처 맵이 함께 제공된다. 각각의 텍스처는 머티리얼의 시각적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언리얼엔진 뿐 아닌 다양한 3D 소프트웨어에서 마켓에 올라온 에셋들을 다운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언리얼 엔진에서 사용하는 텍스처외 유사 다른 유형의 텍스처 파일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이와 같이 다양한 텍스처 맵들을 어떻게 언리얼엔진 머티리얼에 적용시켜야 하는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다룰 텍스처는 다음과 같이 그룹화하여 설명할 예정이다. 단, 같은 그룹에 있는 텍스처라고 완전히 같은 뜻을 가지거나 사용방법이 같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의하기 바란다. 외부에셋 텍스처의 종류 및 그룹화1. Base co.. 더보기
언리얼엔진 5 머티리얼 | 인스턴스에서 텍스처 사용유무 스위치 만들어 주기 Unreal Engine에서 하나의 머티리얼(Material)을 생성하고, 이를 인스턴스(Material Instance)로 활용하여 다양한 오브젝트에 재사용하는 워크플로우는 매우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자주 마주치는 문제가 있다. 바로 각 머티리얼마다 사용하는 텍스처 종류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어떤 머티리얼은 Metalic 텍스처가 없고, 다른 머티리얼은 Specular 나 Ambient Occlusion 텍스처 파일이 없는 등, 각 머티리얼마다 텍스처 파일 사용 여부가 다르고, 그 자리를 숫자로 대신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다시 말해, 텍스처 사용 여부를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만든 머티리얼 파일의 경우, 인스턴스로 재활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 때에는 'OO 텍스처.. 더보기
언리얼엔진 5 | 뷰포트 2개로 나누기, 4단 분할 설정 방법 시츄에이션언리얼엔진에서 작업하다가, 한쪽에 특정 뷰에서의 모습을 보도록 고정시켜놓고, 다른 뷰포트에서 레벨 작업을 계속 하고 싶었다. 포트폴리오에는 이미지 한 장만 담기는 거니까. 또한 게임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엑터 배치 작업을 계속 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고 들었다 (본인은 아직 게임 플레이를 돌리며 작업할 단계까지 못간 초초보...). 아무튼 이렇게 언리얼엔진에서 작업 효율을 위해 뷰포트 창을 두 개 이상 띄우는 방법을 기록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CONTENTS언리얼엔진 5 뷰포트 2개로 나누는 방법언리얼엔진 5 뷰포트 4단 분할 설정 방법 (☞ 뷰포트 4개 아님) 언리얼엔진 5 뷰포트 2개로 나누는 방법 1 뷰포트 탭 숨김 해제- 뷰포트 좌상단 파란 삼각형 마크를 누른다- 그러면 숨겨져 있던.. 더보기
언리얼엔진 5 | 카메라 프리뷰 창 끄는 방법 (간단 설정 가이드) 시츄에이션 언리얼 엔진에 카메라 엑터를 하나 배치했더니, 클릭할 때마다 커다란 카메라 프리뷰 창이 떠서 작업하기 매우 곤란했다. 이 창을 없애버리거나 크기를 작게 변경하는 설정 방법을 찾아 기록하고 공유한다. 카메라 프리뷰 창이 뜨는 이유 언리얼 엔진에서는 카메라 엑터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해당 카메라의 프리뷰 창이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카메라의 구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기능이라 시네마틱 영상을 제작하는 분들께는 필수인 기능이지만, 오브젝트 배치나 씬을 구성하는 레벨 디자이너들에게는 방해가 될 수 있다. 언리얼 엔진 카메라 프리뷰 창 설정 방법 열심히 찾아봐도 툴바에 껐다 켜는 옵션이 있는 것 같진 않고(메뉴 폰트 크기가 너무 작아 놓쳤을 수도!), 에디터의 개인설.. 더보기
언리얼 엔진 5 | 마켓플레이스 외 2D에셋 구하는 곳 Unity 용으로 나온 2D 게임 에셋은 많으나, Unreal Engine 용 2D 에셋은 마켓플레이스에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Unity 용 에셋을 언리얼 용으로 전환하는 과정도 쉽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itch.io와 opengameart.org에 좋은 콘텐츠가 꽤 있으며, 무료로 제공하는 것도 많아 저작권을 확인후 가져다 사용할 수 있다. 언리얼엔진 마켓플레이스=> 2D용 에셋은 많지 않음=> 메인화면에서 Browse > 2D Assets itch.io=> 상단 메뉴 중 Browse Games > Assets opengameart.org=> 상단메뉴 Browse > 2D Art 저작권 참고사항에셋 다운로드시 저작권을 잘 확인해두어야 함* CC0 혹은 Public Domain : 마음대.. 더보기
언리얼엔진 5 | 화면(뷰포트) 이동을 위한 마우스 사용법 + 필수 기본 단축키 뷰포트 카메라 이동을 위한 마우스 사용법원근(Perspective) 화면일 때 1. 마우스 좌클릭 + 드래그=> 맵 안 이동하면서 보기. 맵 내부 아이템 배치 같은 작업시 유용=> 마우스 왼쪽 버튼 누른채로 마우스를 끌면서 맵을 돌아다니면 됨좌측 우측: 마우스 왼쪽 클릭 + 마우스 좌우 드래그전진 후진: 마우스 왼쪽 클릭 + 마우스 앞뒤 드래그 2. 마우스 우클릭 + 드래그=> 한자리에 서서 둘러보기. 카메라 위치는 고정. 시야 각만 회전만 함. =>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끌면서 돌아보면 됨좌우 보기: 마우스 우클릭 + 마우스 좌우로 드래그상하 보기: 마우스 우클릭 + 마우스 앞뒤로 드래그 3. 마우스 아무 버튼 하나만 클릭 + 방향키=> 화면 프레임 통째로 이동시키기. 뷰포트 .. 더보기
Three.js 객체의 이동, 리사이즈, 회전 | position, scale, rotation 선행학습 이번 글에서는 객체의 변형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코드 라인만 기재되어 있다. 객체 자체를 만들고 화면에 띄우는 과정은 아래 글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Three.js 반응형 canvas + 전체화면 만들기 Three.js 한 눈에 보는 Geometry 종류 CONTENTS 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AxesHelper 켜기 Three.js 객체의 이동 position Three.js 객체의 크기 변형 scale Three.js 객체 회전 rotation AxesHelper 켜기 객체의 이동과 변형을 시작하기 전, 변화를 좀더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축'선을 켜준다. // 축선 켜기 const axesHelper = new THREE.AxesHelper(3) // 괄호 안 숫자 .. 더보기